++ 서론
프론트 단에서 서버로 데이터 통신이 필요할 때,
라우터 요청을 보내는 <form> 태그 내에 <select>가 있고 그 안에 <option> 가 있고,
그 <option>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서,
최종적으로 input으로 ( 또는 button으로 ) submit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번에 구현하는 서비스에선 <select>의 <option>이 선택되자마자
서버로 데이터 통신이 되어야했다
때문에,
submit을 해줄 <button>이나 <input> 태그가 없는 상태에서
js를 쓰는 방법으로 하려다
검색으로 좋은 코드를 찾게되어 공유한다ㅏㅏㅏㅏ
방법은 아래와 같다!
<select onchange="this.form.submit()">
저렇게 <select> 박스 내에 onchange 메소드를 넣어주고,
현재 <select> 가 포함되어있는 <form> 태그의 submit이 되게끔 한다!
( 내 생각에 저렇게 했을 때 문제점이 있다면, 너무 자주 데이터 통신이 일어난다는 점?
만약 통신에서 가져오는 DB용량이 많다면 느려지거나 하진 않을까 했지만
현재 서비스에서는 괜찮았다!
이건 추후에 더 살펴보고 포스팅하는걸로--- )
++ 또, <select> 박스의 value 값 넘기는 방법들을 소개한 글을 찾아서 아래에 링크를 남겨둔다ㅏㅏ
출처 :
https://xe1.xpressengine.com/qna/1531923
select를 하면 자동으로 submit가 되게 할려면 - 묻고답하기 - XpressEngine
아 몇일 동안 연구했는데 모르겠네요.보통 FORM 안에 select가 있고 마지막에 input으로 submit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잖아요.근데 submit를 누르는 단계를 빼버리고 선택만 하면 form이 실행되게 할려고
xe1.xpressengine.com
select박스의 onchange에서 this.value 사용하기
웹개발한지 3년째인데 이제서야 알게 되긴 했지만, 안까먹기 위해서 정리해둔다. select box에서 onchange 함수를 자주 사용하는데 대략 이렇다. value1 value1 value1 value1 value1 이렇게 해놓구 테스트를 해
godpage.tistory.com
'Front-end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의 입력값 그--대로 출력하는 방법 (0) | 2021.07.01 |
---|---|
원치않는 #text 노드 해결 (0) | 2021.06.24 |
<input> 태그의 속성 정리 required와 autofocus (0) | 2021.06.21 |
autocomplete 속성 (0) | 2021.05.21 |
인라인, 블록 레벨 태그</> 정리 (0) | 2021.02.23 |